여러분들은 넙치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시는 지 모르겠지만 이들은 얼굴이 한 쪽으로 몰려있는 조금은 괴상한 얼굴로 유명하기도 하고 해양 밑바닥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많은 가자미과의 생선들이 있고 특히 광어와 많이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지만 광어와 넙치는 명백한 차이가 있으며 맛도 다르다고 하며 오늘은 이러한 넙치에 대해 앞으로 헷갈리지 않도록 여러모로 자세히 뜯어보면서 함께 지식을 채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넙치는 누구일까요?
이들은 해저어류에 속하며 레저 낚시 뿐만 아니라 식용으로도 매우 가치있고 널리 사용되는 물고기라고 하며 유전학과 형태학을 기반으로 한 2018년 분지학적 분석에 따르면 그린란드 넙치는 대서양과 태평양 넙치를 낳은 혈통에서 분기되었다고 하고 세 가지 모두의 공통 조상은 점박이 가자미와 참돔 넙치를 포함하는 오른쪽 가자미 속을 낳은 계보에서 분기되었다고 하며 알래스카 주인 스워드의 어부들은 신선한 넙치를 잡아 말리기도 하고 여기에 서식하는 넙치는 매우 크기가 큰 편에 속한다고도 합니다.
어떤 신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대서양 넙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넙치라고 하며 국제적인 물고기 크기를 측정하는 단체에 기록된 것에 따르면 2013년 7월에 노르웨이 해역에서 234킬로그램 263센티미터의 넙치가 잡히면서 기록을 갱신했다고 하며 2014년 7월에 알래스카 글레이셔 베이에서 219킬로그램의 태평양 넙치가 잡혔다고 하지만 이것은 넙치가 배에 포획되기 전에 총에 맞고 작살을 맞았기 때문에 기록에서 제외가 되었다고 하고 이들은 윗면이 짙은 갈색이고 배는 흰색에서 회백색이며 피부에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비늘이 있다고 하고 또한 태어날 때 머리 양쪽에 한 쪽 눈이 있는 대칭형으로 태어나지만 6개월 후 성장을 진행하는 동안 한 쪽 눈이 머리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하며 두개골이 완전히 고착화되기 시작하면 눈은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동시에 고정된 눈 쪽은 위쪽과 일치하도록 어두워지고 다른 쪽은 흰색으로 유지가 된다고 하며 이러한 색의 배치는 위에서 바라볼 때와 아래에서 바라볼 때 가자미를 위장시키기 용이한 카운터 쉐이딩의 일환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무엇을 먹으며 성장할까요?
넙치는 입에 들어갈 수 있는 거의 모든 물고기나 동물을 먹는다고 하며 어린 넙치는 작은 갑각류와 기타 바닥에 사는 유기체를 먹는다고 하며 백 속에서 발견되는 동물로는 모래장어와 문어 그리고 연어와 소라게 및 심지어 명태와 청어와 같은 물고기와 자신과 비슷한 개체인 가자미도 포함이 된다고 하며 주로 수 미터에서 수백 미터에 이르는 수심에 살고 있으면 대부분의 시간을 바닥 근처에서 보내지만 먹이를 얻기 위해 수면으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고 하며 대부분의 생태계에서 넙치는 바다의 먹이사슬에서 꼭대기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며 이들을 잡아먹는 대표적인 북태평양의 포식자는 일반적으로 바다사자와 범고래 그리고 연어 및 상어를 비롯해 대표적으로 인간이 있다고 합니다.
넙치 어업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북태평양에서의 산업으로 넙치 어업은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늘날에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크고 수익성이 좋은 어업 중 하나일 것이며 캐나다와 미국 해역에서는 바닥을 가로질러 몇 마일까지 확장될 수 있는 가중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원형 갈고리에 문어 덩어리 또는 다른 물고기 미끼를 사용하여 긴 줄 낚시가 주로 이루어진다고 하며 어선은 몇 시간에서 하루 후에 낚싯줄을 회수한다고 하고 서식지에 대한 긴 줄 기어의 영향은 미비할 수 있으나 퇴적물과 저서 환경에 교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분석이 있기도 합니다. 넙치는 미국과 캐나다 그리고 러시아 및 일본의 수역을 차지하고 천천히 성숙하기 때문에 국제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길이가 약 80센티미터인 8세가 될 때까지 번식하지 않으므로 이 길이 이하로 상업적으로 포획하면 번식이 억제되고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는 미국 및 캐나다의 규정에 위배되는 행위이기도 하며 때문에 태평양에서의 넙치 낚시는 국제 태평양 넙치 위원회에서 관리하는 중이라고 하며 현대 시대의 대부분을 위해 넙치 어업은 교대로 운영되기도 했는데 규제 기관은 낚시가 시작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한 번에 하루에서 이틀 정도의 시간을 허용했으며 어부는 그 간격 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무게를 잡기 위해 경쟁을 했으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어업에 대한 무제한 참여를 수용하는 동시에 규제 기관이 개방 횟수와 시기를 제어하여 연간 어획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고 이것은 하지만 날씨가 알려지기 전에 필연적으로 지역이 설정되어 날씨와 관계없이 어부들이 항구를 떠나야했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은 낚시로 이어지기도 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것은 신선한 넙치를 시장에 공급하는 것을 연간 몇 주간으로 제한하기도 했는데 이때 공급과잉으로 인해 어부들이 받는 가격이 하락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개인 할당량은 얼마나 됐을까요?
1995년 미국 규제 기관은 각 선박의 기록된 어획량을 기준으로 기존 어업 참가자에게 개별 어업 할당량을 부여했으며 낚시 시즌은 총 약 8갤월 정도라고 하며 이러한 시스템은 신선한 넙치를 시장에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안전성과 제품 품질 모두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은 이러한 시스템이 민간 부문에 공공의 자원을 제공한 안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고 어업은 1923년에 결성된 국제 태평양 넙치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미국과 캐나다 간의 조약을 통해 관리되었다고 하며 알래스카와 브리티시 컬림비아에서는 중요한 스포츠 어업이 나타나기도 했는데 이곳에서는 넙치가 사냥감 및 식용 물고기를 소중히 여기며 넙치는 매우 강하기도 하고 공기에 노출되면 격렬하게 몸부림치는데 이것이 오히려 이들을 레져낚시의 묘미로 만드는 요소가 되기도 했다고 하고 그것으로 인해 종종 어부들은 이들을 배 가까이 위치시키고 둔기로 머리를 내리치는 행위를 통해 제압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음식으로 넙치는 어떻게 활용될까요?
태평양 또는 대서양 넙치의 육질은 80%가 물이고 19%가 단백질이며 지방은 거의 없고 탄수화물은 없다고 하고 다양한 비타민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조리된 넙치는 아마 탈수의 과정을 통해 단백질 함량이 더욱 늘어나기도 하며 비타민B의 함량이 감소한 반면 마그네슘과 인 및 셀레늄의 함량이 풍부해지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고 하며 대표적인 넙치 요리 중 하나의 조리법은 삶거나 튀기거나 신선한 상태로 굽는 경우가 많으며 하지만 이들의 고기는 지방 함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연어보다 훈제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하며 그러나 매우 신선하고 맛이 매력적이기 때문에 조미료가 거의 필요하지 않다고 하고 조밀하고 단단한 질감의 육질로도 유명하다고 합니다.
오늘 이렇게 넙치에 대해서 매우 다양하게 알아보았는데 처음 알게 된 사실은 이들이 태어날 때는 눈이 각각 올바른 방향에 위치했다는 것이며 저서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눈을 한 쪽으로 몰 필요가 있었다고는 해도 그것이 후천적으로 발생하게 진화한 것은 그 중에서도 매우 특이한 경우이기도 하며 또한 급식으로도 매우 즐겨먹던 생선인데 이렇게 구체적으로 알게되니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출처 : wikipedia
'바다동물 >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로구이로 유명한 물고기 메로를 알아보자. 칠레농어와의 관계까지. (0) | 2022.06.23 |
---|---|
알래스카 명태의 다양한 이름과 세계 어업에 미치는 역할. (0) | 2022.06.21 |
범상어의 무시무시한 번식과정과 호랑이 무늬 피부 (0) | 2022.06.18 |
황다랑어의 생태와 레저낚시에 대하여. (0) | 2022.06.17 |
그린란드 상어의 수명이 긴 이유와 눈이 안보이는 이유.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