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다동물/해양생물

세계적인 보양식 전복의 정체. 바다달팽이와 비슷한 점.

우리나라에서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보양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전복은 참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의 식탁에 등장하기도 하며 그 껍데기는 오묘한 빛을 내기도 해서 예로부터 고급 가구의 장식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았고 최근에는 양식에 성공하면서 공급이 많아진 탓에 비교적 수월한 요리법인 버터전복구이라는 유행이 생기기도 했으며 여러모로 친숙해진 경향이 없지 않아있는 오늘의 주인공 전복에 대해 같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복은 누구일까요?

전복은 사실 바다 달팽이와 비슷한 분류군에 속한다고 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종의 수는 대략 30에서 130 종 사이라고 하고 전복의 껍데기는 낮고 열린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갑각의 바깥 가장자리 근처에 일렬로 여러 개의 열린 호흡 구멍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조개 껍질의 두꺼운 내부 층은 자개라는 불리는 진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주는 많은 종에서 매우 아름다운 무지개빛을 나타내고 이러한 색상때문에 인간에게 매력적인 장식품으로 여겨져서 보석이나 장신구 등 화려한 악세사리 용도로도 인간과 친숙했다고 하며 이들의 육질은 보양식으로 널리 간주되고 있고 다양한 문화권에서 날 것으로 섭취하거나 요리하여 섭취한다고 하기도 합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전복의 크기는 종마다 매우 다양하며 가장 큰 개체는 크기가 30센티미터에 이른다고도 하고 전복의 껍데기는 볼록하고 둥글거나 타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고도로 아치형이거나 매우 평평할 수도 있다고 하고 대부분의 종의 껍데기에는 작고 평평한 첨탑과 2개에서 3개 사이의 나선형 무늬가 있다고 하며 몸의 소용돌이로 알려진 마지막 소용돌이는 귀 모양으로 껍데기가 비슷하여 귀껍데기라는 별명이 생기기도 하였다고 하며 또한 껍데기의 작은 틈은 특정적인 일련의 구멍인 껍데기의 홈을 나타내고 이 구멍은 아가미에서 물을 배출하고 정자와 난자를 수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호흡 구멍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하며 껍데기가 자라면서 형성되는 셀레니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일련의 구멍들은 앞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적은 수만 열려 있다고 하며 오래된 구멍은 껍데기가 자라고 새 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밀봉되게 된다고 하고 각 종의 셀레니존에는 4개에서 10개 사이의 일반적인 수의 열린 구멍이 있다고 하고 이것은 매우 넓고 자개를 형성한다고 합니다.

이들의 껍데기는 또한 줄무늬가 존재하고 색깔도 종마다 매우 다양하다고 하는데 이것은 이들의 식단에서 비롯된 결과라는 연구가 있으며 실제로 껍데기 안쪽을 감싸고 있는 무지개 빛깔의 자개층은 은백색에서 분홍색, 빨간색과 녹색 및 파란색 등 아주 다양한 색상이 있다고 하며 이들은 약 70개의 이빨이 있다고 하며 이것은 톱니모양으로 후크가 있고 처음 4개는 특히 매우 크다고 하며 둥근 발은 대부분의 연체 동물에 비해 매우 크고 아가미는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둘 다 잘 발달되어 있는 편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번식을 하며 살아갈까요?

전복은 비교적 작은 크기로 성적 성숙이 완료되고 크기가 커질수록 번식력 또한 높아지면서 한 번에 약 1100만 개의 알을 낳기도 한다고 하며 정자는 실 모양을 하고 있고 한쪽 끝이 뾰족하고 앞쪽 끝은 둥근 머리의 형태를 하고 있고 전복이 성체가 되면 적색 또는 갈색의 조류를 주로 선호한다고 하며 이러한 엄청난 번식력을 토대로 이들은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과 북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 그리고 극지방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연안 해역을 따라 분포한다고 하며 전복 종의 대부분은 뉴질랜드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그리고 호주와 일본 연안과 같은 찬 바다에서 발견된다고 합니다.

Photo by Content Pixie on Unsplash

전복 껍데기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나요?

이들의 껍데기는 매우 강하며 미세한 탄산칼슘의 타일이 마치 벽돌처럼 쌓여 있는 구조라고 하며 타일 층 사이에는 달라붙어 있는 단백질 물질이 있으며 이 물질은 전복 껍데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껍데기가 부서지는 대신 단백질이 늘어나 미끄러지고 타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졌다고 하며 전 세계의 재료 과학자들은 방탄복과 같은 더 강한 세라믹 제품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전복의 이러한 껍데기 구조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고 하며 동시에 껍데기를 갈았을 때 발생하는 먼지는 매우 유독하다고 하는데 사람들은 이러한 입자를 흡입하지 않도록 매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하기도 합니다.

인간과의 역사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전복은 수세긱 동안 음식과 장식 품목의 공급원으로 전 세계적으로 수확되었고 발톱 모양의 진주와 자개와 같은 전복 조개 및 관련 재료는 보석과 단추 그리고 버클 및 상감 세공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이 조개껍데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블롬보스 동굴의 100,000년 된 퇴적물로부터 캘리포니아 북부 채널 제도의 역사적인 중국 전복 서식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고 적어도 만 이 천년 동안 채널 제도의 주변에서 전복이 채취되어 4천 년 전에 그 지역의 조개 껍데기가 줄어들었다고 전해지기도 합니다.

전복의 양식은 일본과 중국에서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 시작되었다고 하며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용도의 전복 양식이 많은 시도와 성공을 거두었다고 하며 남획과 밀렵으로 인해 양식 전복이 소비되는 전복의 대부분을 공급할 정도로 야생 개체수는 급감했다고 하며 주요 전복 양식 지역은 중국과 대만을 비롯한 일본 및 한국이지만 다른 국가들에서 또한 양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고 하며 실제로 2012년에는 갖가지 실험을 한 뒤 전복을 기르기 위한 바다 목장이 서호주의 한 연안에서 실시되기도 했다고 하며 목장은 각 400개의 전복을 수용할 수 있는 5,000개의 별도 콘크리트 전복 서식지로 구성된 인공 산호초를 기반으로 한다고 하고 암초에는 해안 부화장에서 가져온 어린 전복이 파종된다고 합니다.

세계에서 전복은 어떻게 소비되고 있을까요?

전복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해있는 만큼 모든 지역에서 많은 인간들에게 아주 중요한 식량 공급원의 역할을 해왔고 그렇지만 전복이 대중화되고 동시에 덜 보편화되면서 그에 따라 가격이 조정되기도 했으며 1920년대에 식당에서 제공하는 전복 한 조각은 약 7달러 였지만 2004년에는 75달러로 상승한 적이 있다고 하며 이 당시 미국에서는 중국 이민자들이 전복을 주로 채집하고 먹는 행위가 극에 달한 시기였다고도 하며 때문에 캘리포니아에서는 조간대 이상에서 전복을 채취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이 통과되기도 하였으며 이로 인해 중국인은 전복을 마음대로 채취할 수 없게 되었고 다시금 미국 본토 사람들에게 전복은 인기있는 음식이 되었으며 각 국가마다 조리법은 상이하기도 한데 일본에서는 주로 살아있는 전복과 생 전복을 초밥에 올려먹는 방식을 애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전복을 죽에 넣어서 이용하는 사례가 많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전복을 피자와 먹거나 마치 스테이크처럼 즐기는 방식도 선호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세계적인 보양식 전복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가장 충격적인 사실은 이들이 단순한 조개류가 아니라 바다달팽이와 같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고 사실 생각해보면 조개들은 껍데기가 두 개인 것에 비해 전복은 하나라는 사실을 이제서야 깨닫게 되었고 그 속살 또한 다른 어패류보다는 조금은 단단한 식감을 자랑함으로써 왜 이제야 이런 차이를 깨닫게 되었는지 너무 신기하면서도 무지에 대해 반성하게 되는 하루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출처 : wikipedia